반응형
🟩 1. 연금 ETF 가입했는데, 그 다음은 뭘 해야 할까?
연금저축 ETF에 가입하고, 연말정산에서 세액공제도 잘 챙겼습니다.
"이제 노후 걱정 끝!" 하고 싶지만, 문득 이런 생각이 들죠.
❝나머지 자산관리는… 어떻게 해야 하지?❞
❝월급·소득 관리는 따로 안 해도 되는 걸까?❞
연금 ETF는 전체 자산관리의 한 조각일 뿐입니다.
지금부터는 조금 더 현실적인 시야로, 지금의 수입과 지출, 미래의 자산까지 통합적으로 설계해야 합니다.
🟨 2. 현실 자산관리 3단계 로드맵
🔹 1단계: 현금 흐름 점검과 고정비 구조 다지기
- 월 수입이 얼마인지, 어디에 새고 있는지 점검
- 가장 먼저 손봐야 할 건 고정비:
주거비, 통신비, 구독 서비스 등 - ✅ TIP: 통장 흐름만 봐도 지출 체질이 드러난다
추천 방법:
- 통장 쪼개기 (비상금, 생활비, 저축/투자용)
- 네이버 가계부, 토스 등 앱 활용
🔹 2단계: 기본 통장 구조 + 투자 습관 만들기
연금저축 ETF 외에도,
- IRP (추가 세액공제)
- 비상금용 CMA
- 적립식 ETF 투자 등
소득 수준에 맞는 포트폴리오 구성이 필요합니다.
수입 대비 저축/투자 비율 = 40% 이상을 목표로
(단, 고정비를 줄여야 현실화 가능)
🔹 3단계: 미래 현금흐름과 은퇴 전략 설계
- 지금 준비 중인 연금저축 ETF는
미래 소득의 한 축일 뿐 - 여기에 국민연금, IRP, 퇴직연금, 중장기 ETF까지
조합해야 진짜 은퇴 준비가 됩니다.
💡 관점의 전환:
‘자산이 얼마냐’ 보다
**‘매달 얼마가 들어오는 구조냐’**가 더 중요합니다.
🟦 3. 마무리 – 이제부터는 '전체 그림'을 그릴 때입니다
연금 ETF 시리즈를 통해
'노후 대비'의 퍼즐 한 조각은 채우셨습니다.
이제 다음은,
- 지금의 수입을 어떻게 분배할지
- 자영업자·프리랜서라면 어떻게 세금까지 고려할지
- 소비 습관은 어떤 영향을 줄지
이런 실전형 자산관리 전략이 필요합니다.
👉 다음 글 예고:
📌 “월급 300만 원, 어떻게 저축해야 할까 – 현실적인 재테크 설계법”
현실 속에서 당장 적용 가능한 돈 관리법, 함께 고민해보겠습니다.
필자 코멘트:
연금 ETF에 대해 문의 주셨던 독자분들 덕분에,
저도 제 돈의 흐름을 다시 점검하게 됐습니다.
이 시리즈가 누군가에겐 좋은 출발점이 되길 바랍니다.
다음 편도 기대해주세요 :)
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, 공감(♡)과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. 항상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😊
반응형
'투자 이야기(주식.ETF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월급 300만 원으로 어떻게 저축하고 투자까지 할까? 현실적인 재테크 설계와 자동 저축 시스템 공개! (16) | 2025.06.04 |
---|---|
[주가동향 분석] 이재명 정부 출범, 핵심 10대 공약 수혜 업종은? (0) | 2025.06.04 |
[6편] 은퇴 준비, 연금저축 vs. ETF 투자, 뭐가 더 좋을까? (15) | 2025.06.01 |
ETF 투자 시리즈 5편] 월배당 ETF로 현금 흐름 만들기, 진짜 가능한가? (2) | 2025.05.14 |
[달러 투자 시리즈 3편]달러로 직접 투자? ETF로 우회 투자? 뭐가 더 유리할까? (4) | 2025.05.14 |